맨위로가기

우에스기 나리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스기 나리노리는 요네자와 번의 11대 번주로, 1820년에 태어나 1889년에 사망했다. 그는 번주로 재임하며 군사력 강화와 서양식 훈련 도입 등 개혁을 추진하여 영지를 추가로 받는 등 명군으로 칭송받았다. 보신 전쟁 당시 신정부에 항복하려 했으나 거부당하자 오우에쓰 열번 동맹의 맹주가 되어 신정부군과 싸웠다. 전쟁에서 패배한 후에는 영지가 삭감되고 은퇴했으며, '배신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요네자와번 사람 - 히라타 도스케
    히라타 도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법제 정비에 기여하고 무신조서 공포를 주도하는 등 사회 정책에도 관여했다.
  • 막말 요네자와번 사람 - 이케다 시게아키
    이케다 시게아키는 미쓰이 재벌 총수,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 겸 상공대신 등을 역임한 일본의 은행가이자 정치가이다.
  • 요네자와번주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겐신의 양자가 되어 오타테의 난을 겪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여 아이즈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요네자와 번 초대 번주가 되어 에도 시대에 활약하다 사망했다.
  • 요네자와번주 - 우에스기 무네후사
    우에스기 무네후사는 1718년에 태어나 1734년 요네자와 번의 7대 번주가 되었으며, 번 재정의 어려움을 해결하려 노력했으나 1746년에 사망했다.
  • 요네자와 우에스기가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겐신의 양자가 되어 오타테의 난을 겪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여 아이즈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요네자와 번 초대 번주가 되어 에도 시대에 활약하다 사망했다.
  • 요네자와 우에스기가 - 요네자와번
    요네자와번은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다테, 가모, 우에스기 가문이 통치했으며, 우에스기 하루노리의 개혁으로 재정난을 극복하고 교육과 복지에 힘썼으나, 보신 전쟁 패배 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우에스기 나리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에스기 나리노리
이름우에스기 나리노리
일본어 이름上杉斉憲
출생1820년 6월 20일
사망1889년 5월 20일
사망 장소도쿄, 일본
신분
막부에도 막부
데와국요네자와번 번주
씨족요네자와 우에스기가
관직
관위종3위
관직식부대보, 탄정대필 겸 좌근위권중장
요네자와번 통치
요네자와 번주 (12대)1836년 ~ 1868년
선대우에스기 나리사다
후대우에스기 모치노리
가족 관계
아버지우에스기 나리사다
배우자(1) 사다히메, 야마우치 도요스케의 딸
(2) 이쿠히메, 마쓰다이라 요리히로의 딸
자녀시게노리
에이코
가쓰카타
요시이 노부요시
마쓰다이라 다다타카
유우코
구마마쓰
니와 나가히로
준코
니와 나가야스
지즈루코
가메오
생애
유년명쓰루치요
아쓰치요
통칭기헤이지
다른 이름사이테이
기잔
기타 정보
모시는 쇼군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2. 생애

분세이 3년(1820년) 5월 10일, 요네자와 번의 11대 번주 우에스기 나리사다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덴포 10년(1839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번주가 되었다.[2]

번주 취임 이후 번정 개혁에 힘쓰고 군대의 서양식 훈련 도입 등 군사력 강화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성과를 거두어 게이오 2년(1866년)에는 막부로부터 공적을 인정받아 영지 3만 석을 추가로 받았다. 이는 우에스기 가문 역사상 약 250년 만의 영지 증가였으며, 이로 인해 나리노리는 선대 명군인 우에스기 하루노리(요잔)에 버금가는 인물로 평가받기도 했다. 그는 개명적인 인물로서 개국에도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다.[2][3]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처음에는 신정부에 협조하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오우에쓰 열번 동맹의 맹주가 되어 신정부군과 맞서 싸웠다.[4] 초기에는 니가타 항을 탈환하는 등 전과를 올렸으나, 시바타번의 배신 등으로 전세가 불리해지자 결국 신정부군에 항복하였다.[3]

메이지 유신 이후, 오우에쓰 열번 동맹을 이끈 책임을 물어 영지가 14만 7천 석으로 삭감되었고, 1868년 맏아들 우에스기 모치노리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고 강제로 은거하게 되었다. 1889년 5월 20일, 도쿄에서 향년 70세(만 68세)로 사망하였다.

2. 1. 출생과 가문 계승

분세이 3년(1820년) 5월 10일, 요네자와 번의 11대 번주 우에스기 나리사다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하타케야마 요시치카의 딸 타키(滝)로, 측실이었으나 우에스기 가문의 혈통을 이었다.[2]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당시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이름 한 글자(편휘)를 받아 나리노리(斉憲)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는 쇼군의 총애를 받은 표시로 여겨진다. 후에 아버지와 같은 이름인 '''나리사다'''(斉定)라고도 불렸다.

덴포 7년(1836년) 10월 23일, 종사위 하(下)의 관위와 함께 지주(侍従), 시키부노다이유(式部大輔)라는 명예 칭호를 받았다.[2] 덴포 10년(1839년) 4월 3일,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가문을 계승하고 요네자와 번의 12대 번주(다이묘)가 되었다.[2] 같은 해 4월 11일에는 관직이 단조다이히쓰(弾正大弼)로 변경되었으며, 지주 직위는 그대로 유지했다.[2]

2. 2. 번정 개혁과 군사력 강화

덴포 10년(1839년) 번주가 된 이후 번정 개혁에 힘썼다. 특히 군사력 강화에 주목하여 서양식 군사 훈련 방법을 도입하였다. 당시 막부는 점증하는 서구 열강의 위협에 대응하여 각 번에 해안 방어 강화를 요구하고 있었는데, 이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안세이 3년(1856년)에는 번의 가신들에게 지행(知行, 봉록)을 담보로 자금을 빌리는 제도를 부활시켰다. 이는 번의 군사 현대화를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사용되었다.[2]

민생 안정에도 관심을 기울여, 안세이 6년(1859년) 번 내에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자 종두법 시행을 적극 권장하였다.

이러한 번정 개혁과 군사 현대화 노력은 큰 성공을 거두어, 게이오 2년(1866년) 막부는 그의 공적을 인정하여 요네자와번의 영지를 3만 석[3] 늘려주었다. 이는 우에스기 가문이 도요토미 정권 시대에 에치고 국에서 아이즈로 영지를 옮긴 이후 약 250년 만에 처음으로 영지가 증가한 사건으로, 가문의 큰 경사로 여겨졌다. 이로 인해 나리노리는 선대의 명군으로 칭송받는 우에스기 하루노리(요잔)에 버금가는 명군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개명적인 인물로서 일본의 쇄국 정책을 끝내고 개국하는 것에도 적극적인 입장이었다고 전해진다.

2. 3. 보신 전쟁과 오우에쓰 열번 동맹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아이즈번과 함께 요네자와 번도 신정부군의 토벌 대상이 되었다. 나리노리는 처음에는 신정부의 뜻에 따라 항복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항복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보낸 서신이 신정부에 의해 거부되자, 이에 분개하여 센다이번 등과 함께 오우에쓰 열번 동맹의 실질적인 맹주[4]가 되어 신정부군에 맞서 싸웠다. 요네자와 군은 한때 신정부군을 압도하며 니가타 항을 탈환하는 등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시바타번의 배신 등으로 전세가 불리해졌고, 신정부군의 맹공격을 받아 패주했다.

이후 패색이 짙어지자 어쩔 수 없이 신정부군에 항복하였다.[3] 항복은 우에스기 군이 이전 동맹이었던 구보타 번, 아이즈번(아이즈 전쟁), 쇼나이번을 공격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이 때문에 '배신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4]

메이지 유신 이후, 오우에쓰 열번 동맹의 실질적인 맹주였다는[4] 이유로 책임을 물어 영지가 14만 7천 석으로 삭감되는 처벌을 받았다. 또한 메이지 원년(1868년) 12월 7일, 맏아들 시게노리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강제로 은퇴당했다.

2. 4. 은퇴와 사망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의 실질적인 맹주[4]로서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시바타번의 배신 등으로 전세가 불리해지자 결국 신정부군에 항복하였다. 항복 과정에서 이전의 동맹이었던 아이즈번쇼나이번을 공격하라는 조건을 받아들여 출병하였고, 이로 인해 '배신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4]

메이지 유신 이후, 오우에쓰 열번 동맹을 주도한 책임을 물어 영지가 14만 7천 석으로 대폭 삭감되었다. 메이지 원년(1868년) 12월 7일, 나리노리는 장남 우에스기 모치노리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강제로 은퇴하였다. 메이지 2년(1869년) 9월 28일에는 종삼위에 서위되었다.

메이지 22년(1889년) 5월 20일, 도쿄에서 향년 70세(만 6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가계

(내용 없음)

3. 1. 부모


  • '''아버지''': 우에스기 나리사다 (1788년 ~ 1839년)
  • '''어머니''': 후요인(芙蓉院) - 하타케야마 요시치카의 딸

3. 2. 배우자


  • 정실: 貞姫|테이히메일본어 (1821년 ~ 1847년) - 도사번주 야마우치 도요스케의 딸.
  • 계실: 郁姫|이쿠히메일본어 (1828년 ~ 1862년) - 다카마쓰번주 마쓰다이라 요리히로의 딸.
  • * 다섯째 아들: 요시이 노부요시 (吉井信謹|요시이 노부요시일본어, 1853년 ~ 1890년) - 요시이 노부사토의 양자가 됨.
  • * 여섯째 아들: 마쓰다이라 타다카타 (松平忠敬|마쓰다이라 타다카타일본어, 1855년 ~ 1919년) - 마쓰다이라 타다자네의 양자가 됨.
  • * 아홉째 아들: 니와 나가히로 (丹羽長裕|니와 나가히로일본어, 1859년 ~ 1886년) - 니와 나가쿠니의 양자가 됨.
  • 측실: 岩|이와일본어 (1826년 ~ 1903년) - 스즈키 마사토모의 딸.
  • * 장남: 시게노리 (茂憲|시게노리일본어, 1844년 ~ 1919년) - 제13대 번주.
  • * 딸: 瑛子|에이코일본어 (1848년 ~ 1886년) - 별명 瑛姫|에이히메일본어. 사가라 요리모토 정실 → 아스카이 마사모치 실 → 야마우치 도요노리 계실.
  • * 넷째 아들: 카츠카타 (勝賢|카츠카타일본어, 1850년 ~ 1898년) - 우에스기 카츠미치의 양자가 됨.
  • * 딸: 猶子|유코일본어 (1856년 ~ 1921년) - 별명 猶姫|유키메일본어. 이케다 마사아키의 정실.
  • * 열째 아들: 구마마츠 (熊松|구마마츠일본어, 1858년 ~ 1933년) - 아내는 사카이 타다츠네의 딸 貞|사다일본어. 자녀 마키코 (牧子|마키코일본어).[5]
  • * 열한째 아들: 니와 나가야스 (丹羽長保|니와 나가야스일본어, 1869년 ~ 1902년) - 형 나가히로의 양자가 됨.
  • * 딸: 純子|준코일본어 (1866년 ~ 1901년) - 별명 虎姫|토라히메일본어. 오가사와라 타다치카 정실.
  • 측실: 神田氏|칸다 씨일본어
  • * 딸: 千鶴子|치즈코일본어 (1877년 ~ 1965년) - 호소카와 타츠오키 실.
  • * 열셋째 아들: 카메오 (亀雄|카메오일본어, 1880년 ~ 1910년).

3. 3. 자녀

wikitext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정실: 야마우치 도요스케의 딸 테이히메 (貞姫)자녀 없음
계실: 마쓰다이라 요리히로의 딸 이쿠히메 (郁姫)다섯째 아들요시이 노부요시 (吉井信謹)1853년 ~ 1890년요시이 노부사토 (吉井信貞)의 양자가 됨.
여섯째 아들마쓰다이라 타다카타 (松平忠敬)1855년 ~ 1919년마쓰다이라 타다자네 (松平忠誠)의 양자가 됨.
아홉째 아들니와 나가히로 (丹羽長裕)1859년 ~ 1886년니와 나가쿠니 (丹羽長国)의 양자가 됨.
측실: 스즈키 마사토모 (鈴木正)의 딸 이와 (磐)장남시게노리 (茂憲)1844년 ~ 1919년제13대 번주.
에이코 (瑛子)1848년 ~ 1886년별명 에이히메(瑛姫). 사가라 요리모토 (相良頼基) 정실 → 아스카이 마사모치 (飛鳥井雅望) 실 → 야마우치 도요노리 (山内豊範) 계실.
넷째 아들카츠카타 (勝賢)1850년 ~ 1898년우에스기 카츠미치 (上杉勝道)의 양자가 됨.
유코 (猶子)1856년 ~ 1921년별명 유키메(猶姫). 이케다 마사아키 (池田政礼)의 정실.
열째 아들구마마츠 (熊松)1858년 ~ 1933년아내는 사카이 타다츠네 (酒井忠経)의 딸 사다(貞). 자녀로 마키코 (若森巻子)[5].
열한째 아들니와 나가야스 (丹羽長保)1869년 ~ 1902년형 나가히로(長裕)의 양자가 됨.
준코 (純子)1866년 ~ 1901년별명 토라히메(寅姫). 오가사와라 타다치카 (小笠原忠忱) 정실.
측실: 칸다 씨 (神田氏)치즈코 (千鶴子)1877년 ~ 1965년호소카와 타츠오키 (細川立興) 실
열셋째 아들카메오 (亀雄)1880년 ~ 1910년


4. 평가

우에스기 나리노리는 에도 시대 말기의 다이묘로서, 번의 군사력 현대화를 추진하고 일본의 쇄국 정책 종식을 지지하는 등 개혁적인 면모를 보인 인물이다. 그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총애를 받아 관위가 상승했으며, 번의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막부의 요구에 부응하여 해안 방어력 증강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은 번의 고쿠다카 증가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보신 전쟁이라는 격동기를 맞이하면서 그의 정치적 입지는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초기에는 새로운 메이지 정부를 지지하려 했으나, 삿초 동맹과의 갈등 속에서 결국 오우에쓰 열반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맞서 싸웠다. 전쟁에서의 패배 이후, 그는 영지 삭감과 강제 은퇴라는 결과를 맞이하게 되었다. 나리노리의 삶은 개혁을 추구했으나 시대의 격랑 속에서 어려운 선택을 해야 했고, 결국 정치적으로는 좌절을 겪었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우에스기 나리노리는 정치적으로 개혁가였으며, 일본의 쇄국 정책 종식을 지지하는 등 개방적인 입장을 취했다.[1] 그는 재임 초기에 가신들에게 자금을 빌리는 제도를 다시 시행했는데, 이는 당시 막부가 요구했던 해안 방어 강화를 위한 번의 군사력 현대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1]

이러한 군사 현대화 노력과 그에 따른 비용 지출을 막부가 인정하여, 1866년에는 번의 고쿠다카를 3만 코쿠만큼 늘려주었다.[1] 이는 요네자와 번이 200년 이상 만에 처음으로 영토를 늘린 중요한 성과였다.[1] 이처럼 나리노리는 번의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 등 번 발전에 기여했으며, 쇄국 정책에 반대하는 등 시대 변화에 발맞춘 선구적인 면모를 보였다.[1]

4. 2. 부정적 평가

보신 전쟁 발발 초기, 우에스기 나리노리는 새로운 메이지 정부를 지지하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요네자와 번이 아이즈 번과 함께 삿초 동맹의 공격 대상으로 지목되고, 메이지 정부에 보낸 서신이 무례하게 거부당하자 입장을 바꾸었다. 이에 분노한 나리노리는 센다이 번 등과 함께 오우에쓰 열반 동맹을 결성하여 신정부군에 맞섰다. 초기에는 니가타 항구를 점령하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기도 했으나, 시바타 번의 이탈로 전세가 불리해지자 결국 메이지 정부에 항복을 제안했다. 메이지 정부는 우에스기 군이 이전 동맹이었던 구보타 번과 아이즈 번(아이즈 전쟁)을 공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항복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결정은 동맹을 저버린 행위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전쟁 후 메이지 정부는 요네자와 번의 고쿠다카를 140,000 ''코쿠'' 삭감하는 처벌을 내렸으며, 나리노리 자신도 1868년 강제로 은퇴당하고 1869년에는 관위가 종5위로 강등되는 불명예를 겪었다.

5. 등장 작품


  • NHK 대하 드라마
  • * 야에의 벚꽃 (2013년) - 쿠라모치 카즈히로 분

참조

[1] 웹사이트 Uesugi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8-01-18
[2] 문서 義周の父・[[畠山義紀]]は5代藩主・[[上杉吉憲]]の三男で、斉憲の両親はまたいとこ同士である。
[3] 문서 毛利安積は上杉茂憲が[[米沢県]](のち置賜県)知藩事となると、家臣筆頭の甲斐武田・次席の能登畠山を差し置いて、[[大参事]](知藩事に次ぐ副官。現在の副知事に当たる)に就任した。
[4] 문서 名目上の盟主は仙台藩の[[伊達慶邦]]。
[5] 문서 [[警察官]]・[[若森直良]]の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